홈으로 즐겨찾기 로그인

집중력높이기 두뇌훈련 뉴로피드백 감각통합훈련 - 왜 집중력이 떨어지는 걸까요?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은 언제인가요? 무엇이 집중을 방해하나요? 어떻게 하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나요? 어떻게 하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나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일상적인 팁은 무엇인가요?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나 기술이 있나요?
집중력을 높이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가장 효과적인 집중력 훈련 방법은 무엇인가요? 집중력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어린이도 집중력 훈련이 가능한가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추천 도서는 무엇인가요? 집중력이 좋지 않아 치료하려는데 집중력훈련 집중력 치료 잘하는 병원이나 한의원, 추천과 소개해주세요.
굉장히 많이 듣는 질문인데요. 집중력 향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집중력높이기 두뇌훈련 뉴로피드백 감각통합훈련 - 왜 집중력이 떨어지는 걸까요?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은 언제인가요? 무엇이 집중을 방해하나요? 어떻게 하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나요? 어떻게 하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나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일상적인 팁은 무엇인가요?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나 기술이 있나요?
집중력을 높이는 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가장 효과적인 집중력 훈련 방법은 무엇인가요? 집중력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어린이도 집중력 훈련이 가능한가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추천 도서는 무엇인가요? 집중력이 좋지 않아 치료하려는데 집중력훈련 집중력 치료 잘하는 병원이나 한의원, 추천과 소개해주세요.
굉장히 많이 듣는 질문인데요. 집중력 향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뇌의 힘을 키우자


1.집중력훈련이 필요한 경우      2.똑똑해지는 두뇌

학습을 위한 최상의 몸상태와 맑은 두뇌

1.집중력뇌파훈련이 필요한 경우
성급하고 빠른 두뇌
-아는 문제도 놓치고 틀리나요?
-잦은 실수가 반복되지 않나요?
-덤벙대지 않나요?
-인내력이 부족하지 않나요?
-계획표대로 실천하지 못하지는 않나요?
-돌출적인 말이나 행동을 하지는 않나요?

잠재되어 묻혀있는 집중력
-집중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나요?
-지속적으로 집중하는데 어려워하나요?
-주의가 산만하지는 않나요?
-공부한 만큼 성적이 오르지 않나요?
-단기기억력이 낮아 암기가 어렵지는 않나요?

내향적 학습형
· 암기능력 및 장기 이해능력 탁월
· 단기 이해력, 순발력, 문제대응력 저하
· 장시간 집중 탁월
· 심하면 자폐적 성향으로 발전가능

학습의욕 저하형
· 학습 의욕 전반적 저하
· 학습능력 감소 초래
· 무력감, 만성피로에 민감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ADHD인 경우 일반적으로 전두엽에서 세타파항진
· 주의력저하인 경우 상대적으로 좌뇌쪽에서 세타파가 항진되며, 과잉행동인 경우 우뇌쪽에서 세타파가 항진

체계화된 학습이 되도록 두뇌활동과 시지각, 청지각의 이상적 배열을 지향합니다.

2.똑똑해지는 두뇌
집중력 훈련 전후 알파파 변화
-정신을 고도로 집중할 수 있는 상태의 훈련입니다.
-인간의 뇌파를 베타파상태에서 알파파상태로 전이시켜 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최대의 효율이 나게 도와줍니다.
-알파파란 안정시 기록되는 뇌파로 7-14cps의 비교적 규칙적인 뇌파의 집중상태로 알파파 상태에서 기억된 내용은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시지각 능력의 개발
-눈으로 활자를 보는 순간, 뇌에서 판독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목독의 훈련입니다
-책을 읽을 때 한글자씩 읽는 것보다 6-7자 단위로 끊어서 읽는 것이 읽기속도도 더 빨라지고 동시에 의미 전달에도 효과적입니다.
-집중력이 좋은 학생들은 칠판을 보면 칠판의 글씨만 보인다고 합니다.
시지각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집중력훈련을 통해 정보를 정확하고도 빠르게 인지하도록 정독훈련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뇌기능의 활성화
-인간의 뇌세포 중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던 뇌세포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회로를 형성, 많은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동시에 처리하도록 합니다.
-눈에서 받아들인 활자의 자극을 뇌에서 순간적으로 과거 기억을 상기시켜, 비교, 분석한 후 이해하는 능력의 개발을 돕게 됩니다.

위치감각 트레이닝
-공부의 신들은 교과서를 무작정 외우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방식으로 재배열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 암기해야할 것과 이해해야할 것 등을 빠르게 재배열하고 구분하여 학습효율을 증가시킵니다.

창의적인 사고 트레이닝
-나름의 요령을 가지고 뇌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기억해내는 방법입니다.
-의미가 없는 학습에는 의미를 부여하고, 형태가 없는 학습물에는 이미지화시키는 등 많은 정보를 기억하고 문제를 풀 수 있는 주도적인 나름의 공부방법을 찾는 과정입니다.


3.검사
검사 : 증상에 맞춰 꼭 필요한 최소한의 검사가(1~3종류) 이루어집니다.
1.뇌기능검사  2.학습인지검사   3.종합주의력검사 
4.학습습관검사  5.좌우뇌활용검사   6.자율신경검사 

1.뇌기능검사     - 뇌기능이 정상적인 범위내에서 작용하고 있는지 뇌파를 검사하게 됩니다.
소요시간 :10분남짓

뇌파 (Electroencephalogram; EEG)의 정의
대뇌피질의 신경 세포군에서 발생한 뇌 전기활동의 총화 (summation)을 체외로 도출하고, 이를 증폭해서 전위를 종축으로 시간을 횡축으로 해서 두피상 (intact scalp)에서 기록한 것입니다. 두피상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전위변동은 약 1~60 Hz의 주파수와 5~300 μV (보통은 20~100 μV)의 전위변동을 나타냅니다. 뇌파상의 변화를 주는 요인은 개인차, 연령, 의식상태의 변화, 정신활동 및 지각자극, 신체의 생리적 변화, 뇌 내 병적 과정 홀은 질환상태 등이 있습니다. 뇌파 electroencephalogram (EEG)는 객관적, 비침습적, 연속적으로 간단하게 대뇌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이고, 현재 대뇌기능 평가법에서 이 뇌파보다 우수한 검사법은 없습니다.


정량화 뇌파 (QEEG/Mapping System)
정량화 뇌파는 최근 들어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뇌영상화기법인 양전자 방출단층촬영(PET)이나 단일광자 방출 전산화단층촬영 (SPECT)처럼, 뇌의 기능적인 이상을 보여주는 도구로서 새로이 각광받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정량화 뇌파는 각 전극에서 얻어진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광학매체나 자성매체에 기록합니다. 자료는 여러 채널에서 동시에 기록되는데 한 채널에서 최고 초당 100회 이상의 표본을 추출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며, 디지털 신호로 저장된 기록을 고해상도 비디오 화면에 아날로그 파형으로 다시 복원시켜 원래의 뇌파의 형태로 재생시키게 됩니다. 정량화 뇌파는 얻어진 자료를 각종 분석방법을 통하여 처리하는데,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비선형적 동적 분석 (nonlinear dynamic method)을 이용한 분석, 프랙탈 분석 (fractral analysis) 등이 있으며 스펙트럼 분석이 가장 전통적인 분석방법입니다.

대뇌 피질의 부위별 기능

전두엽: 주위에 관한 정보나 기억 정보, 그것에 대한 판단력을 시작으로 사물을 생각한다거나 결정 하거나 상상력을 발휘하는 등 의사, 사고, 창조, 감정 등 정신 활동의 대부분에 관여합니다. 성격의 형성도 이 부분에서 행해지게 되는데, 전두엽의 앞부분은 대부분의 인지적 기능 의지 정서 및 고등 정신 기능과 관련이 있고, 뒷부분은 보조운동영역이며, Broca영역은 언어 표현을 관장합니다.

측두엽: 귀로 들어온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며, 기억 과정에 관여합니다.
또한 Wernicke 영역은 언어를 관장하는 언어 중추로 좌뇌의 이 부분에 있어 언어를 말하거나 상대의 말을 이해할 때 기능하게 됩니다. 이곳이 손상을 받으면 뇌는 언어나 소리가 들려올 때 판단하는 것이 어려워집니다.

두정엽: 전두엽 뒤로 넓게 퍼져있는 상부 부분. 입체 감각이나 시각 정보 등 신체가 받아들인 각종 지각 정보를 짜 맞춰 주위를 인식합니다. 사물의 크기나 피부 접촉, 상하 좌우위치 관계나 거리감 등도 이곳에서 인식하는데, 이곳이 손상을 받으면 신체에서 느끼는 감각이 없어지고 동작이나 행동에도 지장을 끼치게 됩니다.

후두엽: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관장합니다. 눈으로 들어 온 정보를 관장하는 “시각야”는 이곳에 있고 색의 다름이나 밝음, 어두움, 형태, 깊이, 움직임 등의 외부에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합니다. 시각 정보를 우선하는 인간은 이 시각야가 다른 감각야 보다도 우위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좌 뇌
1. 언어를 이해하는 뇌: 오감을 통해 들어 온 정보를 언어로 바꿉니다.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언어를 말할 수 있게 되면 좌뇌 우위의 생태가 계속됩니다.
2. 의식을 관장하는 뇌: 외부에서 들어 온 정보를 처리하고 “이것을 좋다’, “저것은 싫다” 등의 희로애락을 시작으로 인간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정신활동의 대부분을 관장합니다.
3. 이론을 조립하는 뇌: 정보를 수령해 이해하고 분석하고 판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깁니다. 다른 동물에는 없는, 인간이기 때문에 가능한 기능이기도 합니다.

우 뇌
1. 이미지로 파악하는 뇌: 오감을 통해 들어 온 정보를 그대로 이미지로 포착합니다.
일일이 언어로 바꾸지 않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감이 움직이는 뇌: 순식간에 이미지로 기억하기 때문에 정해지지 않은 요구가 있을 때 사고나 논리를 뛰어 넘어 축적된 정보가 순식간에 살아나게 됩니다.
3. 지도를 읽는 뇌: 정보를 공간이나 형태를 포함한 입체적인 영상으로 포착하기 때문에 또다시 같은 장면에 직면하게 되면 이전에 본 상황이 즉시 떠오르게 됩니다.




2.학습인지검사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  - 학습을 위해 필요한 인지강도와 집중강도를 검사합니다.
소요시간 :10분남짓

학습과정에 관여하는 고도의 인지기능(higher cognitive function)들을 신경생리학적 뇌파지표들에 의해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평가합니다.
세부 검사 항목
- 인지강도, 인지속도에 의한 인지능력 검사
- 집중강도, 지속력에 의한 집중력 검사
- 정신부하도에 의한 정서상태 검사
- 좌,우뇌 활성도에 의한 문제해결성향 검사
- 활성뇌파 세부리듬 검사

레이븐 검사 (K-CPM, K-SPM)
색채누진 지능검사로 시공간적 지각력과 추론능력을 평가하며, 지적능력을 측정할 수 있게 개발된 비언어성 추리-사고력 지능검사법입니다.
이 검사는 문화적 차리를 완전히 배제한 지능검사이기 때문에 그 신뢰성을 인정받아, 천재들의 집단인 MENSA의 공식 가입시험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론적 배경
1923년 영국의 지능학자인 스피어만이 주장한 특수능력과 일반능력이라는 지능구분에 입각한 검사법입니다. 특수능력은 언어이해력, 기억력, 어휘력등으로 환경에 비교적 영향을 많이 받는 요소들로 되어있으며, 일반능력은 유추능력, 즉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잠재적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융통성있고 창의적인 사고의 뿌리가 되는 능력입니다. 레이븐 검사는 스피어만의 일반능력에 가까운 검사법입니다.

검사특징 
현재 전세계 38개국에서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있음
언어이해력과 무관한 범 문화적 비언어성 검사임
언어적 지시가 많이 필요 없어도 문제해결방식을 이해하도록 하였음




검사내용
1)동일성 (similarity) : 그림부분의 동일성 여부를 구분할수 있어야 하고 그 후에 유사성 정도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2)방향성 (orientation) : 앉은 위치를 중심으로 그림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그림이 제시된 지각 장을 기준으로 그림의 방향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3)추리력 (reasoning) : 그림의 변화를 비교하여서 유추할 수 있어야 합니다.
4)변별력 (differentiation) : 지각된 전체를 세부요소로 나눌 수 있어야 하고 이미 그려진 그림과 추가될 수 있는 다음 그림 간에 구분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5)조직력 (organization) : 두 개 이상의 분리된 그림을 전체로 구성하여서 하나의 통합체로 조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측정영역
유추능력, 잠재적인 사고력, 동시처리능력, 우뇌의 활성화, 지능의 뿌리





3.종합주의력검사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에서 인증하는 유일한 검사로 선택주의력, 억제지속력과 분할기억력, 작업기억력등을 검사합니다.
소요시간 :30분~40분남짓

종합주의력검사 내용
-단순선택주의력(시각): 원하는 시각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
-단순선택주의력(청각): 원하는 청각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
-억제지속력: 지속적으로 주의력을 유지하며 충동성을 억제하는 능력
-간섭선택주의력: 주위의 간섭자극을 무시하고 필요한 자극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
-분할주의력: 두가지 이상의 자극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작업기억력: 일련의 자극들을 순서대로 기억하며 처리할 수 있는 능력




4.학습습관검사 - 학습을 위해 필요한 쓰기, 읽기, 학습동기와 실천력, 기억능력, 집중등 학습을 위해 준비된 제반 습관을 검사합니다. 
소요시간 :10분남짓 

학습의 사전적 의미는 ‘경험 또는 연습의 결과 생기는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를 말합니다. 이러한 학습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학습능력과 더불어, 학습을 위해 사전 준비로 필요한 학습의욕, 학습동기와 실천력등 평소 학습습관도 중요합니다. 학습습관 검사는 쓰기와 읽기, 학습동기와 실천력, 기억능력, 집중도등을 검사합니다.

-학습동기와 실천력 : 구체적인 미래상을 지니고, 계획하에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가를 평가
-시간관리 : 시간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하고 있는가의 정도를 평가
-수업태도 : 수업에 대한 적극성, 수업 중 집중능력 등을 평가
-노트필기 : 수업내용에 대한 필기여부와 노트필기의 적절성, 요령, 활용도를 평가
-책읽기 : 책 읽을 때 내용에 대한 이해도, 핵심내용 파악정도, 교과서 활용도를 측정
-기억능력 : 정확한 기억과 기억된 내용을 얼마나 오래 유지하는가를 평가



5.좌우뇌활용검사- 좌우대뇌의 기능상 활용도 측면에 있어서의 균형을 측정합니다
소요시간 :10분남짓

단순패턴지각, 단기기억으로의 저장, 이후 패턴과의 비교/인지과정으로 이루어진 학습능력 검사과제를 수행할 때의 좌뇌와 우뇌활성비율을 검사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때엔 좌뇌와 우뇌비율이 50%:50% 인 상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좌뇌 또는 우뇌 활성도가 표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엔 특정 뇌만 편향되어 활성화된 경우로 좌/우뇌가 연합된 좀 더 효율적인 뇌정보처리를 위해서는 좌/우뇌 균형개발 훈련이 필요합니다.
좌,우뇌 활성도는 좌,우 뇌파의 감마파워(Gamma-Power)에 의해 결정됩니다. 감마파워는 문제해결 과정에 필요한 고도의 인지기능(higher cognitive function) 작동시에 더욱 활성화됩니다.

좌뇌 활성화를 유도하는 작업
- 책읽고 줄거리 요약하여 말하거나 쓰기
- 순차적인 작업순서도 만들기
- 계산/셈하기
- 퍼즐 맞추기
- 오른쪽 몸(손/발)으로 세밀한 동작 반복하기

우뇌 활성화를 유도하는 작업
- 사실화 그리기/관찰하여 그리기
- 같은 카드 찾아내기
- 숨은그림 찾기/미로게임
- 클래식 음악듣기(음악이나 미술감상)
- 왼쪽 몸(손/발)으로 세밀한 동작 반복하기(글자쓰기,그림그리기등...)









6.자율신경검사- 가속도 맥파와 심박 변이도를 측정하여 자율신경계 검사와 스트레스에 대해 검사합니다
소요시간 :10분남짓

심혈관 진단을 위한 가속도 맥파(APG)와 심박 변이도(HRV)를 이용한 자율신경계(ANS) 이상 및 이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 질환을 측정합니다.
심장이 뛸 때마다 말초혈관의 압력과 구경의 변화로 전파되는 동맥계 파동을 손가락에 착용하는 광센서로 측정하는 광전식 맥파계로, 맥파의 측정 결과는 USB케이블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맥파와 가속도 맥파그래프 및 고저, 맥파주기, 맥파상태점수, 환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측정된 맥파의 분석을 통한 맥파의 종류와 평균맥박수를 컴퓨터 및 단말기에 표시합니다. 또한, 측정된 맥파에서 순간 심박수를 분리한 후, HRV(Heart Rate Variability, 심박 변이도)를 분석하고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 등을 표시하게 됩니다.
특징
- 인체에 무해하고 비침습적인 검사 방식
- 혈관 탄력도, 동맥 경화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
- 심혈관기능과 자율신경 균형상태 2가지 검사를 동시에 진행






4.두뇌훈련
치료법와 두뇌훈련
1.뉴로피드백    2.시지각청지각통합훈련    3.소뇌기저핵훈련   4.바이오피드백
5.좌우뇌균형훈련  6.전침요법  7.약침요법   8.두개천골요법  9.한약요법


1.뉴로피드백
NASA 우주비행사의 집중력 훈련에 이용되기 시작한 뉴로피드백은 자신의 뇌파 정보를 직접 눈으로 보면서 뇌기능향상에 필요한 뇌파를 스스로 조절하여 뇌신경 네트워크를 발달시키는 뇌훈련 기술입니다. 최근에는 의료분야, 심리치료분야, 집중력과 고도의 지적활동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스트레스 치유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뉴로피드백은 기억력, 집중력, 신체조절능력등 다양한 심신의 능력을 향상시켜 자신의 두뇌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려는 목적으로 활용할 때 유용합니다.

뉴로피드백 훈련의 적용 범위 
대부분의 뇌기능상 문제에서 적용 가능하며, 크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각성 수준의 조절 
2. 수면/각성 사이클의 조절
3. 인지 기능의 재구성 
4. 감각 정보처리 과정의 정상화 
5. 부적절한 운동 기능의 정상화 
6. 기분, 정서, 분노 조절 
7. 기억의 향상 


뉴로피드백 무엇이 달라지는가? 
1) 스트레스. 정서불안. 불면. 학습부진/장애 등에 두뇌의 안정감을 얻게 됩니다. 
2) 좌/우뇌 등 다양한 영역의 기능을 고르게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됩니다. 
3)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뇌로 뇌기능의 활성도 경향이 바뀌게 됩니다.
4) 학습부진을 조기에 선별하여 잘못 되어가는 두뇌의 발달과정을 바로 잡을 수 있습니다. 
5) 두뇌의 순발력. 회전속도. 좌/우뇌균형. 감각력(뇌센스). 인지력등의 두뇌계발 훈련을 통하여 순수지능증가가 가능하며, 고도의 사고와 창의가 요구되는 시대에 맞춘 최적의 두뇌운영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뉴로피드백 훈련의 2가지 형태
알파/세타 훈련 적응증의 예 (청각적인 feedback)
-만성통증
-뇌졸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명상(참선)
-만성 피로 증후군/섬유근통
-고혈압
-알코올/컴퓨터게임/약물 등의 중독증
-기분 장애
-섭식 장애 
-홧병
-과민성 대장 증후군
-만성 신체 질환에 따른 심리적 문제
-비만 (탄수화물 갈망 증상 감소)
-공황 장애/ 공포 증상
-스포츠, 예술 활동

베타파 훈련의 적응증의 예 (시각 및 청각적인 feedback)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자폐증
-학습 장애
-수면 장애
-강박증
-동기 향상
-불안 장애
-발작(간질)
-우울증
-야뇨증
-적대적 반항 장애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반응성 애착 장애
-이명
-자가 면역성 질환 


부작용은 없나요? 
현재의 뇌 상태와 관계없이 강제적인 빛이나 소리로 자극을 주는 것과는 전혀 다릅니다.
아무리 좋은 음악도 듣기 싫을 때가 있으며 스트레스로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뉴로피드백 시스템은 두뇌에서 나오는 미세한 정보를 주파수로 증폭하고 변형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훈련자의 두뇌상태를 알려주는 장치로, 장비와 훈련자의 뇌와 서로 대화를 통하여 뇌기능을 성장시켜나가는 것입니다. 즉, 자신이 유도한 상태가 맞는지 틀리는지 그래프나 소리로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부작용의 사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어느 정도 훈련을 해야 하나요? 
뉴로피드백 훈련은 잘못되어진 뇌사용 방법을 자각시켜주고 여러 가지의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건강한 뇌조직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두뇌전문가를 통한 측정이 선행이 되어 현재의 뇌성향을 정확히 분석하고 그 결과로 훈련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빠른 유도방법을 찾아낼 수 있으며, 반복학습훈련으로 올바른 두뇌조직을 습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처음에 입문하는 훈련자는 과연 이것으로 가능할까? 반신반의 하는 경우가 많이 있을 것입니다. 
보통인의 경우 20회 이상 제대로 훈련을 하면 일단 자신도 모르게 뇌의 느낌이 다르게 나타나며, 30회 정도면 자신이 무언가 바뀌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예전과 달리 마음이 차분해진다거나 잠자는 주기가 일정해진다거나, 책을 읽는 속도가 빠르거나 이해가 쉽게 된다는 것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보통 약 40회 정도 훈련을 하면 어딘가 예전과 완전히 다르다는 느낌이 나타나며 자신도 모르게 뇌가 맑고 정리정돈이 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시지각ㆍ청지각통합훈련
두뇌의 계획, 리듬등 시청각 감각의 통합을 강화시키기 위한 훈련입니다. 이는 신경 심리학적 기능과 피질 조직화에 대한 이론과 일치하며, 훈련을 통해 집중력, 정신 정보처리기능, 인지 기능을 강화시키게 됩니다. 타이밍과 리듬기능은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입니다. 이것은 명백히 운동계획, 순처적 처리기능, 협응력에 관여되고,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 학업성취와 같은 인지 기능에도 관여하게 됩니다.
-눈으로 활자를 보는 순간, 뇌에서 판독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목독의 훈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을 때 한 글자씩 읽는 것보다 6-7자 단위로 끊어서 읽는 것이 읽기속도도 더 빨라지고 동시에 의미 전달에도 효과적입니다.
-집중력이 좋은 학생들은 칠판을 보면 칠판의 글씨만 보인다고 합니다.
시지각의 능력을 극대화하고, 집중력훈련을 통해 정보를 정확하고도 빠르게 인지하도록 정독훈련의 기초를 마련합니다.


미국 정신의학회 정신장애 통계 편람(DSM-IV)을 보면 ADHD, 틱장애, 학습장애, 인지 기능장애, 정신지체, 전반적발달장애, 발달성 협응장애, 치매, 뇌병변을 가진 이들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집중력, 운동계획, 협응기능, 정신조직화, 순차적 처리기능 등에 문제가 있는데 시지각,청지각 통합훈련은 이러한 문제들에 효율적으로 접근하여 뇌를 자극시킬 수 있는 훈련기구입니다. 뇌를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방법을 통하여 집중력, 운동계획, 협응기능, 정신조직화, 순차적 처리기능의 문제들로 야기되는 증상들의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훈련 원리
시각, 청각적인 자극에 반응하는 운동성 훈련을 통하여 두뇌에 있는 신경망의 수초나 시냅스가 증가되고, 결과적으로는 뇌나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신경세포내상의 재구성은 뇌세포를 구조적으로 튼튼하게 해주어 스트레스나 외부의 나쁜 환경 자극원, 자극으로부터 신경섬유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두뇌에 자극을 가하는 것은 신진대사 활성도를 높여 두뇌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해 주고 뉴런의 성장을 촉진하고 뉴런 간의 더 많은 연결을 촉진하는 BDNF를 분비하게 됩니다. 이렇게 분비되는 물질은 뉴런이 서로 의사 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인지기능을 증가시킵니다. 그리고 몸을 이완시켜 심각하게 부정적인 정서적 갈등을 겪지 않고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 도움이 되는 GABA(Gamma-Aminobutyric acid)의 가용성이 높아져 주의집중이 높아지게 됩니다.
  
훈련 목표 
‘타이밍’, 리듬, 집중력, 운동 계획 등에 있어서 신경 가소성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지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타이밍과 리듬 기능은 인간의 보행이나 운동성, 넓게는 사고에도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기본적 능력입니다. 이것은 또한 학습 기능에 관여를 하는데 운동계획, 순차적 처리 기능, 협응력에 관여되고, 넓은 의미에서는 말하기, 의사소통능력, 학습 성취도와 같은 인지 기능과 사고에도 관여합니다.
운동 계획, 리듬, 감각 통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이러한 훈련의 결과 신경네트워크는 자극을 받게 되고, 반복해서 자극을 함으로써 신경 가소성의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신경학적 변화는 장기간 저장되어 지속성을 가지게 됩니다(LTP). 신경계의 긍정적 변화는 결국 운동기능, 집중력을 좋게 하고 정보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전체적인 뇌인지 기능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훈련후 분석내용
Laterality: 좌우운동성분석
Transverse: 상하운동성분석
Bilateral Synchronization: 좌우교류분석
Bilateral Cross Crawl: 좌우교차분석


3.소뇌기저핵훈련
소뇌기저핵훈련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그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으로, 몸의 움직임이나 위치,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정보를 뇌에서 통합시킴으로써 환경에 적응하고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입니다. 전반적인 감각 통합의 문제로 인해 운동 및 행동조절, 불수의적인 근육 및 성대운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에게 좋으며, 인지기능 강화에도 효과적입니다.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 암기해야할 것과 이해해야할 것 등을 빠르게 재배열하고 구분함으로써 학습효율을 높이는 바탕을 마련합니다.


소뇌는 인체내에서 타이밍(Timing), 균형(Balance), 운동조절(Coordinating movement), 우동학습(Motor learning)을 담당하는 작은 뇌로써, 유아기에는 대뇌를 되먹임기전(Feed  forward)을 담당할 뿐 아니라, 성장과정에서 지성적으로 클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인지 및 학습기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훈련원리
해아림학습클리닉의 훈련장비는 균형감각, 조정능력, 체력조절을 이용하는 특수 장비로, 모니터에 표시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밸랜스 보드를 전후 좌우로 조절, 제어하면서 대상을 연동시켜 이동합니다. 사용자는 이동 및 회전을 수반하는 운동을 터득하게 되며, 또한 동작에 대한 숙련도를 정량적으로 관찰하게 됩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각자의 불균형을 인식하여 불균형의 해소를 목표로 적극적인 행동이 개입하게 되며, 시각 청각 촉각등 수용체를 동원하여 인지능력등 전반적인 뇌기능을 활성화시킵니다.

훈련목표
소뇌와 기저핵을 자극시켜 운동제어의 활성화에 기여하기 때문에, 균형감각, 섬세한 운동 협응 기능이외에도 전두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인지기능에 관여하게 됩니다.
타이밍과 균형이 훈련을 통해 좌우뇌의 기능적 불균형을 해소하게 되며, 통합신경시스템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켜 두뇌의 정보처리능력을 향상시키게 됩니다. 


4.바이오피드백
생체 되먹임 작용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우리 몸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리 현상들을 컴퓨터를 통해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해주고 스스로 훈련을 통해 생리현상들을 조절할 수 있게 도와주는 치료 방법입니다.
(*생체 되먹임 작용이란? 
우리몸에 어떤 물질이 지나치게 많이 존재할 때는 그것이 자극이 되어 자동적으로 그 물질의 분비를 줄여주고 부족한 물질은 많이 분비되게 하여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작용) 


바이오피드백 적용 범위 
대부분의 뇌기능상 문제에서 적용 가능하며, 크게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심한 스트레스 때문에 유발된 불면증, 만성적인 긴장감을 동반한 불면증
2. 긴장성 두통 및 편두통 
3. 만성적인 불안감 및 공황장애
4. 공부 중에 딴 짓을 많이 하는 경우
5. 혼자서 자율적으로 학습을 못하는 경우
6. 산만하고 어수선
7. 시험불안 
8. 또래에 비해 언어발달이 늦거나 말을 더듬는 경우
9. 한가지 생각에 몰두하거나 같은 행동을 자주 반복
10.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학습장애(ADD)
11. 게임중독증
12. 집중력부족

훈련목표
집중훈련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게임에 의존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그래프모드 집중훈련을 시행합니다. 집중력강화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학습능력 검사시 ‘집중력 지표’가 표준범위이하로 낮은 사람에 시행하며, 표준범위 내에 도달하도록, 즉 뇌의 상태를 집중이 용이하게끔 장기적으로 변화시키것(long-term potentiation, LPT)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바이오피드백이 추천되는 이유 
각종 정신 및 신체질환, 특히 스트레스-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바이오피드백이 추천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바이오피드백은 시행하는 과정에 부작용이나 고통이 없습니다. 만일 바이오피드백을 통하여 증상이 치료된다면 부작용이나 고통이 우려되는 치료법을 피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바이오피드백을 통하여 약물 복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바이오피드백은 약물과 관련이 없는 치료이므로, 임신, 약물 알러지, 혹은 다양한 증상 때문에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 시도 가능합니다.
셋째, 바이오피드백은 일종의 심신수련법으로 한번 훈련을 받으면 인체가 증상에 반응하여 대응하는 능력이 함양됩니다. 즉, 증상에 따라 처방을 받아야만 하는 약물치료와는 달리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각종 증상에 대해 스스로 대처하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치료법입니다. 
넷째, 매우 다양한 질환 및 환자들에게 효과가 입증되었는데, 특히, 스트레스와 뇌기능상의 문제와 관련되는 각종 질환에서 높은 치료성과를 나타냅니다. 


5.좌우뇌균형훈련

좌,우뇌의 활성리듬의 균형을 맞추는 바이오피드백 훈련으로 다음 수식과 같은 ‘좌뇌에 대한 우뇌의 Gamma파워비율’인 균형지표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좌우뇌 균형 바이오피드백을 ‘Brain Symmetry-Training’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좌우뇌 균형지표 = (Left-Brain Gamma-Power)/(Right-Brain Gamma Power)


훈련목표
비정상적인 좌우뇌 균형지표는 피험자의 좌뇌 또는 우뇌를 활성화시키는 작업활동에 따라 서서히 표준범위내로 조정됩니다. 좌우뇌균형훈련은 뇌파검사, 좌우뇌활용검사 시 좌우뇌 활성도가 표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시행하며, 균형지표가 표준 범위내에 머물도록, 즉 좌우뇌의 활성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장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좌뇌 활성화를 유도하는 작업
-  책읽고 줄거리 요약하여 말하거나 쓰기
-  순차적인 작업순서도 만들기
-  계산/셈하기
-  퍼즐 맞추기
-  오른쪽 몸(손/발)으로 세밀한 동작 반복하기

우뇌 활성화를 유도하는 작업
-  사실화 그리기/관찰하여 그리기
-  같은 카드 찾아내기
-  숨은그림 찾기/미로게임
-  클래식 음악듣기(음악이나 미술감상)
-  왼쪽 몸(손/발)으로 세밀한 동작 반복하기(글자쓰기,그림그리기등...)
6.전침요법
전침은 2개 이상의 경혈에 자침 한 후 침병에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침자극과 함께 전기적 자극을 주어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전통 침구법으로부터 유래한 진단 및 치료에 근거하여 근대 전자공학적 기술을 가미한 모든 기법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전침요법은 경혈점을 자극하였을 때 나타나는 반사기능을 치료에 응용하는 것입니다. 경혈점은 기관이나 기능적 체계(순환 또는 삼초 즉 내분비계)에 이르는 경락상에 위치하는데, 이 경혈점을 전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극하여, 일반 침치료에서보다 더 강한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전침요법은 뇌혈관을 확장하고 뇌혈류순환과 뇌척수액순환을 좋게 하여 중추신경계통의 기능을 회복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침요법과 두침요법등과 함께 시술하면 중추 신경계 이상으로 오는 경련, 두통, 어지러움, 불면증, 우울증, 불안증, 공황장애등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좌우뇌 불균형상태의 틱장애나 ADHD 치료, 기억력 증강에 좋은 효과를 발휘합니다.

전침의 장점
-전침요법은 수기법과 달리 전기자극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자극을 재현성 있게 반복해서 자극할 수 있습니다.
-전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변수가 많기 떄문에 이러한 매개변수를 달리하면 서로 다른 생리학적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보가 더 구체적이고 특수할 수 있습니다.

전침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근육이 풍부한 곳에 전침을 응용하면, 근육이 빈도수에 따라 수축하게 되는데, 근육이 미약한 경련을 일으키고, 痲, 脹, 重 등의 저리고, 부풀어오르는듯하며, 묵직한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정상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7.약침요법
약침요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약침액을 질환과 관련된 경혈과 체표촉진에 의해 얻어진 양성 반응점에 약침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자침과 약물의 효능을 이용해 생체의 기능을 조절하고 병리상태를 개선시켜주는 신침요법입니다.
약침요법에는 팔강약침, 경락약침, 체질약침, 면역약침, 자하거약침, 봉독약침등이 있으며, 이러한 약침요법은 유럽에서는 동종요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락조직에 윤제나 기제를 주입하여 그 균형을 조절하며, 이를 통해 인체를 건강상태로 회복유지시키게 되는데, 경락작용으로는 생리영위작용, 병약과 노쇠에 대한 저항작용, 이물질 배설을 위한 동통발생과 발열, 발한작용등이 있습니다.

약침요법의 장점
-치료효과가 보다 신속하며 정확합니다.
-한약복용이 용이치 않은 분에게 한약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극소량의 약물으로 효과가 극대화 됩니다.
-혈위에 주입되어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하며, 생체를 유지하는 기를 보강합니다.
-장부허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종 난치성 정신질환에 있어 치료효과가 높습니다.

약침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
-체질에 따라 붉은 반점이나 가려움등 피부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봉독시술후에는 2~3일동안 오한, 발열, 전신통증, 피로감등 몸살이 나고 몸이 붓는 듯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봉독이 체내에 들어가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증강반응이기에 오히려 좋은 반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8.두개천골요법
인체의 뇌는 대뇌와 소뇌, 뇌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척수를 포함하여 중추신경계라 부릅니다. 또 12개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신경, 자율신경을 합친 말초신경계가 있습니다. 이들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균형이 잘 이루어져 있을 때, 유기적인 활동이 가능하며,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건강한 상태가 유지되게 됩니다.
만약 척추의 균형이 무너진다면 뇌척수의 순환장애를 유발할 뿐 아니라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오장육부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못하며, 뇌의 조절통제능력에도 문제가 발생하여 신경정신과 질환뿐 아니라 여러 난치성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ADHD나 틱장애, 우울증, 불면증, 신경과민, 강박증, 공황장애등과 같은 질환의 대부분이 뇌기능상의 문제로 인해 촉발되며, 이러한 뇌기능상의 이상이 상부경추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두개천골조직이 있는데, 이는 두개골, 척추, 천골, 미골로 이루어진 골격내의 경막조직입니다. 경막조직 내부에는 뇌척수액이 흘러 윤활과 영양공급, 그리고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경막조직 내부의 뇌척수액 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주어 것이 바로 두개천골조직으로, 만약 두개천골조직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다면, 뇌 척수, 신경계가 관할하는 소화계, 순환계, 내분비계, 골격계등 인체대사의 모든 부분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턱관절과 경추의 변형을 바로 잡아주고, 두개천골조직에서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도와주어야합니다.
먼저 두개천골운동의 대칭성과 속도등을 체크하고, 근막 움직임과 근육활동을 살펴 긴장도를 완화시켜 주도록 하며, 경추의 배열상황과 주변 근육들의 긴장도를 살펴 이를 풀어줍니다.

적응증
-ADHD, 틱장애, 난독증, 발달장애, 학습장애
-불면증, 우울증, 강박증, 공황장애, 신경질
-통증 및 관절장애


9.한약요법
한의학에서는 인체와 정신을 분리할 수 없는 유기체적 존재개념으로 바라보며, 질병이 만들어내는 눈에 보이는 증상만이 아니라, 그 증상을 만들어내는 원인, 정신적 상황을 포함한 근본원인을 찾아서 치료에 들어가게 됩니다. 틱장애, ADHD, 불면, 우울증, 강박증, 공황장애, 불안증 역시 인체 기능과 정신적인 상황을 유발하는 뇌기능상의 문제가 맞물려 정상적인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육체적 문제가 정신적 상황을 유발하고, 이 정신적 상황이 다시 육체적 문제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있을 때, 이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기 위해, 적극적인 한약치료와 뇌파훈련이 병행하게 됩니다.

해아림한약의 특징
-복진을 통해 몸에서 발현되는 객관적인 단서에 입각한 처방입니다.
-뇌파검사를 통해 치료프로토콜 선정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처방입니다.
-아이의 인지발달과 정서안정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성장을 도와주도록 체질을 개선시켜나가게 됩니다.
-근육의 과긴장상태를 이완시켜줍니다.
-스트레스등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력과 인체의 면역력을 증강시키게 됩니다.
-한약제품보증이 되는 의약품으로써의 효능과 안전성을 지닌 한약재만을 사용합니다.
-안정성 검사, 순도검사, 유효성검사 등을 거친 식품의약품 안전청 허가규격품만을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