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즐겨찾기 로그인

식욕부진 - 아이가 밥을 잘 안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떻게 하면 아이가 밥을 잘 먹게 할 수 있나요? 간식은 어떻게 제한해야 하나요? 애가 너무 말랐는데, 마른  아이에게 어떤 음식을 추천하나요? 밥도 잘안먹고, 많이 말랐는데, 마른 아이가 활동량이 많아도 괜찮나요? 아이가 계속 밥을 거부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부모의 식습관이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나요? 밥을 잘 안 먹는 아이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밥을 잘 안 먹는 아이가 먹는 간식의 문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밥잘먹는 한약 복용 시 부작용은 없나요? 얼마나 자주 한약을 복용해야 하나요? 등의 질문을 많이 하시는데요. 밥 잘 안먹는 마른아이 한약 잘 짓는 한의원 추천이나 소개해주세요. 이런 말씀도 많이 듣게 되는데요. 한방 성장한의원, 성장클리닉에서 설명하는 식욕부진에 도움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어머님들에게 흔하게 듣는 말씀이 있습니다.
‘아이가 먹던 분유량이 줄었어요’  ‘아이가 밥을 너무 먹지 않아서 걱정이예요’
‘밥을 먹기는하는데 체중이 늘지가 않아요’ ‘밥을 잘 먹게하는 한약이 있나요?’

1.아이가 밥을 잘 안먹어요. 식욕부진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성장기때 식사를 통해 아이에게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장과 발달에 저해를 줄까 걱정을 많이 하게 됩니다.
식욕부진은 성장치료를 위해 내원하는 아이들의 30%이상이 증상을 호소할 만큼, 빈도가 높은 증상입니다.

원인
소화기계 허약 –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전의 문제가 있는 경우. 비위기능이 떨어져서 소화력 자체가 약하기 때문에 잘 먹으려고 하지 않고, 먹는다고 하더라도 자양분을 생성시키는 기능이 약해서 신체로의 영양운송과 공급이 저하.
	
호흡기계 허약 – 잦은감기와 비염, 축농증, 기관지염등과 같이 호흡기계통이 허약하여 공급된 자양분의 소모가 많은 경우
	
비뇨기계 허약 –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고, 배에 가스가 차거나 헛배가 부른경우 대장관의 운동에 이상에 생겨서 음식을
거부하거나, 소화배설을 시키지 못하는 경우
	
심인성 허약 – 엄마와의 애착관계의 불형성, 외부자극에 대한 스트레스반응, 분리불안, 무서운 꿈, 공포 등의 심인성적 요인


식욕이라는 부분은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식욕중추의 자극으로 인해 나타나며, 이후 각 오장육부에서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자양분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밥을 잘 먹지 않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이중 제일 많은 부분이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전의 문제가 있는 소화기계허약이 있습니다. 이 경우 비위기능이 떨어져서 소화력 자체가 약하기 때문에 잘 먹으려고 하지 않고, 먹는다고 하더라도 자양분을 생성시키는 기능이 약해서 신체로의 영양운송과 공급이 떨어집니다.
또 잦은감기와 비염, 축농증, 기관지염등과 같이 호흡기계통이 허약하여 공급된 자양분의 소모가 많은 경우도 있으며, 배변활동이 원활하지 않고, 배에 가스가 차는 경우, 헛배가 부른경우등 비뇨기계의 허약으로 대장관의 운동에 이상에 생겨서 음식을 거부하거나, 소화배설을 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 엄마와의 애착관계의 불형성, 외부자극에 대한 스트레스반응, 분리불안, 무서운 꿈, 공포등의 심인성적 요인도 식욕부진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2. 식욕부진 맞춤치료법으로 면역력 강화까지
한의학에서는 식욕부진을 不思飮食이라 하여, 음식물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을 표현하는데, 위의 원인에서 말한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심인성등 다양한 원인과 아이의 체질에 맞춰,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약처방과 소아약침, 소아스티커침등을 시행합니다. 보통은 약 3개월전후의 치료기간으로 몸의 전체적인 균형을 통해 식욕부진을 해결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