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즐겨찾기 로그인

강박증 증상, 어떤 증상이 보이면 강박증 치료를 해야하나요? 강박증을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무엇인지 강박증 완치가 가능한지 궁금해요. 치료하려는데 강박증 치료 잘하는 병원 추천이나 소개해주세요.
굉장히 많이 듣는 질문인데요. 강박장애, 강박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박증 증상, 어떤 증상이 보이면 강박증 치료를 해야하나요? 강박증을 치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무엇인지 강박증 완치가 가능한지 궁금해요. 치료하려는데 강박증 치료 잘하는 병원 추천이나 소개해주세요.
굉장히 많이 듣는 질문인데요. 강박장애, 강박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무엇인가를 해야되고,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특정생각이 반복적으로 든다면??

강박증 증상은 무엇인가요?
강박증은 불안장애의 하나로, 스스로의 민감성이 상승된 상황과 지속적인 자극원이 존재하여, 뇌기능상의 불균형이 초래된 질환으로,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어떤 생각이나 장면이 머릿속에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 특정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반복적이고 원하지 않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잦은 손 씻기, 숫자 세기, 확인하기, 청소하기등과 같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강박적 사고를 막거나 그 생각을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러나 이런 행동은 일시적인 편안함을 제공할 뿐 오히려 결과적으로는 불안감과 초조함을 더욱 더 증가시킵니다.
강박적 사고가 의미없거나 불합리한 것임을 스스로 알고 있지만, 떨쳐버리려고 해도, 본인의 의지대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심한 좌절감을 느끼고 이로 인해 힘겨워합니다.

강박사고 :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도, 본인도 모르게 생각이 떠오르면서, 불안 초조를 유발하는 반복적인 사고와 충동을 말합니다. 
강박행동 : 강박사고를 지우기 위한 행동으로 어떤규칙이나, 정해진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으면, 답답함과 불안 초조를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강박증 의심증상 체크해보아요.
Maudsley 강박행동목록 표준화
① 병균에 감염될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공중전화의 사용을 꺼린다.  
② 추잡한 생각들이 자주 떠오르고, 그런 생각들을 지워버리기 어렵다.  
③ 대부분의 사람들에 비해 정직함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④ 매사를 제시간에 끝낼 수 없어 일이 늦어진다.  
⑤ 동물을 쓰다듬고 나서는 감염이 되지 않을까 하고 매우 걱정한다.  
⑥ 어떤 일(가령, 가스렌지, 수도꼭지, 방문 자물쇠 잠그는 것 등)을 몇 번씩 확인하곤 한다.  
⑦ 나는 매우 양심적이다.  
⑧ 내 의지와는 상반되는 불쾌한 생각들이 거의 날마다 떠올라 기분이 상한다.  
⑨ 우연히 다른 사람과 몸이 부딪히면 지나치게 신경을 쓴다.  
⑩ 내가 하는 단순한 일상사에 대해서 지나치게 신경을 쓴다.  
⑪ 우리 부모님은 어렸을 때 나를 매우 엄하게 키우셨다.  
⑫ 나는 일을 할 때 여러 번 반복해서 하기 때문에 내 일에 대해서 훤히 알고 있는 편이다.  
⑬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비누를 더 많이 쓰는 편이다.   
⑭ 어떤 숫자들은 매우 불길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⑮ 편지를 붙이기 전에 쓴 것을 몇 번씩 확인한다.  
⑯ 외출하려고 옷을 입을 때 시간이 많이 걸린다.  
⑰ 나는 청결에 대해서 지나친 관심을 갖고 있다.  
⑱ 내가 갖고 있는 주된 문제점 중 하나는 너무 세세한 것까지 신경을 쓴다는 것이다.  
⑲ 매우 깨끗이 정리되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할 때는 주저하게 된다.  
⑳ 나한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무엇이든지 반복 확인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㉑ 나는 병균이나 질병에 대해서 지나치게 걱정하는 편이다.  
㉒ 나는 어떤 일이든 한 번 이상 확인하는 편이다.  
㉓ 나는 일상적인 일을 할 때에도 정해진 절차를 매우 엄격하게 따르려 한다.  
㉔ 돈을 만지고 난 다음에는 내 손이 더러워졌다는 생각이 든다.  
㉕ 일상적인 일을 할 때에도 세어보는 버릇이 있다.  
㉖ 아침에 세수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㉗ 나는 소독약을 많이 쓰는 편이다.  
㉘ 일들을 반복해서 확인하느라고 매일 많은 시간을 허비한다.  
㉙ 저녁에 옷을 건다거나 개어놓느라고 많은 시간을 쓰는 편이다.  
㉚ 어떤 일을 매우 주의 깊게 했어도 그것이 아주 잘 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이들 중 22개미만일 경우, 다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며, 22개이상이 해당된다면, 강박증의 가능성이 높으며,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강박증 어떤 증상들이 있나요? 강박사고의 종류
오염 강박사고 – 먼지나 세균, 오염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 이 때문에 손을 자주 씻거나, 목욕을 하는 등 강박행동이 나타남
정돈 강박사고 – 좌우대칭, 정확성, 정돈 등에 지나치게 집착, 줄 맞춰서물건을 놓거나, 정리정돈에 집착, 정리정돈 안되어있으면 다른일을 못함.
신체적 강박사고 – 신체의 특정 부분의 모양에 집착, 질병, 불치병의 가능성에 대해 집착.
양심적 강박사고 – 상스러운 생각이나 욕 등을 마음속으로 해서, 벌받을 것이란 것에 대한 두려움, 도덕적 종교적 규칙 위반에 대해 지나치게 두려워함.
공격적 강박사고 –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해를 가할 것에 대한 지나친 생각을 함. 누군가를 때리거나 흉기로 찌를 것 같은 두려움이 있음.
성적 강박사고 – 원치않는 성적인 생각, 충동 등이 나타나 불안함.

강박행동은 이러한 강박사고를 지우기 위한 반복적 행동입니다 !!!

강박증 원인은 무엇인가요?
욕구와 충동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선조체로 전달하는데, 정보를 선택적으로 거르지 못한 채 전대상피질로 너무 많은 정보가 전달된다면, 이성과 감정을 조절하는 전대상피질이 과도한 정보량 때문에 선택을 하지 못하게 되어, 강박적 사고와 강박적 행동의 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즉 강박증 원인은 감정과 이성을 조절하고 균형을 맞추는 전대상피질의 미성숙이 이성과 감성의 충돌사이에서 선택적 여과가 일어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 무엇인가를 하지 않으면 불안해질까요???
불안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경보장치와 같은 것입니다. 
어떤 큰일을 당하기 전에 미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지나칠 때는 문제가 됩니다.
감정과 이성을 조절하는 제어력이 떨어져 선택적 여과가 일어나지 않기에, 이때 생기는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만 하는 것입니다.

안와전두피질 – 어떤일을 하고자하는 충동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에 관여
기저핵 – 감정과 통증의 중추이며 운동신경계 조절에 관여
시상 – 강박과 불안의 감정을 전대상피질로 과도한 자극으로 전달
전대상피질 – 감성과 이성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강박에서는 이 기능에 문제가 생김

소아강박증의 경우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50%정도가 성인까지 지속되며, 우울증이 67% 사회공포증이 25% 동반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스트레스로 치부해서는 안되며, 강박증 원인과 동반문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강박증 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강박증 진단 및 테스트 검사
검사안내
-한방 강박증 진단 테스트 검사
-뇌기능검사
-인지능력 테스트
-종합주의력검사
-심리검사
-학습습관 테스트
-좌우뇌활용검사
-자율신경검사



강박증 치료 꼭 해야하나요?
여타 정신과 질환의 치료가 그렇듯이, 강박증 역시, 두뇌기능상의 균형 회복이 우선시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스트레스나 환경의 자극에 대해 제어할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이 강박증의 한의학적 강박증 치료의 핵심입니다. 
두뇌가 기능적인 균형을 회복하고 건강해질 때 환자는 스스로 병을 이겨낼 수 있는 정신적 에너지가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한약처방, 약침, 침, 생기능자기조절훈련, 통합감각훈련 등을 선택적으로 시행하는데, 보통의 경우 3~5개월정도의 치료기간이 필요하지만, 환경적요인, 스트레스의 정도, 사회지지세력의 유무, 심리상태의 불안정 정도등을 고려하여 치료기간은 더 짧아질수도 있고, 6개월이상으로 길어질수도 있습니다.
강박증 증상이 의심될 때  강박증 테스트 진단결과에 따라 필요한 강박증 치료를 선택적으로 시행합니다.
해아림 강박장애 치료 : 뇌기능개선한약, 생기능자기조절훈련, 시지각 청지각 시청각 감각 통합훈련, 소뇌기저핵훈련, 좌우뇌균형훈련, 전침 약침 요법, CST 두개천골요법 경추추나, 인지행동요법

몸과 마음의 이상적인 균형... 그리고 예민함에 대한 제어력...
해아림한의원에서 도와드립니다.


강박증 약을 먹고 있는데, 정신과 양약은 어떻게 하나요?
강박증 증상으로 병원이나 한의원을 내원하시는 분들 중에서는 신경안정제등을 장기간 복용하고 계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오랜기간 약을 복용하여 왔기에, 대부분 약물들을 끊고 싶어합니다.
- 어떠한 병이라도 인체가 특정 약물에 의존하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약물에 의존하면 할수록 인체의 회복력과 자연치유력은 조금씩 더 힘을 잃게 되기 때문입니다.

양약을 복용한지 얼마되지 않은 경우는 다르지만, 장기간 양약을 복용한 경우, 당장 양약을 끊자라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양약을 끊었을 때 나타나는 고통을, 양약으로 억제시켜 조금이나마 일상생활을 할 수 있게 한 점,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부정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한약과 양약을 시간차이를 두고서 복용하기를 권합니다. 
치료후에는 양약이든 한약이든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약물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것이 목적입니다. 그래서 해아림한의원에서는 치료과정속에서 중간검사를 통해 조금씩 신경안정제를 서서히 줄여나가면서, 환자의 고통과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강박장애 약물을 줄여나가는 과정은 증상의 정도, 약물의존성, 병력, 의지, 사회환경적인 요인, 양약을 줄였을 때의 반동현상 등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양약을 빠르게는 2달안에 끊는 경우도 있고, 6개월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이후 증상의 호전도를 고려하여, 한약 역시 끊게 됩니다. 

이렇게 점차적으로 약을 조절했을 때, 치료과정에서 환자분들이 덜 힘들어하면서, 근본치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
강박증과 강박성 성격장애는 어떻게 다른가요?
강박증: 통제할 수 없는 강박사고와 행동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
강박성 성격장애: 완벽주의와 규칙 준수를 강조하며, 본인이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음

몸과 마음의 이상적인 균형, 강박장애, 강박증 증상 해아림한의원이 잘 고칩니다.